정보통신 시스템: 정보전송 시스템+정보처리 시스템
- 정보전송 시스템(데이터전송계) : 단말장치+정보전송 회선(신호 변환장치와 통신회선)+통신 제어장치
구성요소 | 기능 |
단말장치 | 정보의 입력과 수신 |
신호 변환장치 | 변조와 복조 |
통신회선 | 변환된 신호의 이동 통로나 통신망 |
통신 제어장치 | 컴퓨터와 모뎀 사이 위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좋은 형식으로 변환 |
오프라인·배치처리, 온라인·즉시처리
- 정보처리 시스템(데이터처리계) : 컴퓨터(중앙처리장치, 기억장치, 입출력장치)+주변기기
구성요소 | 기능 |
중앙처리장치 |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, 처리, 축적, 수정, 변경, 추가 |
기억장치와 입출력 장치 |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입출력 장치로 구성 |
즉시처리, 온라인·배치처리
오프라인처리: 자료 동을 USB나 외장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여 통신회선 없이 사람이 직접 전달하는 형태
온라인처리: 자료 등을 통신회선을 통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하는 형태
즉시 처리(실시간 처리): 자료 처리 요청 즉시 처리
배치 처리: 모아두었다가 어느 시점에서 처리
통신시스템[정보전송]의 하드웨어
단말장치 :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(키보드, 모니터, 프린터 등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든 주변 장치)
신호 변환 장치 : 송신자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전송매체(통신회선)를 거쳐서 전송시킴, 전기적 신호는 수신자의 신호 변환장치를 이용해 원래의 정보로 변환
아날로그 신호
-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
- 전압값이 여러개
- 자연스러움
- 음성, 음악, 텔레비전 영상, 그림, 사진
디지털 신호
- 이산적인 신호
- 정해진 전앖값
- 인공적
- 단말장치, 컴퓨터, 팩스, 텔렉스
정보전송은 변조와 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간의 통신이다. 디지털 데이터는 아날로그 형태인 전기적 신호로 바꾼 후에 전송한다.
신호 변환 장치의 종류 : 모뎀, 디지털 서비스 유닛
모뎀(MODulator + DEModulator)
- 변조: 단말 장치에서 발생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통신회선으로 전송
- 복조: 통신회선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
- 송신부: 데이터 부호화기, 변조기, 스크램블러, 주파수 체배기
- 수신부: 등화기, 대역 제한 여파기(BPF), 자동 이득 조절기(AGC), 복조기, 데이터 복호화기, 스크램블러의 역기능인 디스크램블러 등
디지털 서비스 유닛
- 디지털망에 사용하는 회선 종단 장치(DCE: Data Circuit-terminating Equipment)
- 디지털 데이터나 신호를 먼 곳까지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변환
통신회선
-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
- 통신기기 사이를 연결
- 데이터 전송선로 or 정보전송 매체
- 데이터 전송선로는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
- 전송선로는 전송속도에 영향을 줌
유선선로
꼬임선(Twisted Pair cable/wire)
동축 케이블(Coaxial Cable)
광섬유 케이블
무선선로: 전자기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유도체,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로 분류
- 마이크로파: 방향성 o, 주파수 범위 2~40Hz, 물리적으로 분리된 지역을 커버
- 라디오파: 방향성x, 주파수 범위 30kHz~1GHz, 주로 방송용
통신시스템[정보전송]의 소프트웨어
: 컴퓨터 하드웨어의 전체 동작을 지시 및 제어하는 프로그램
- 하드웨어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돕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, 하드웨어를 지시 및 통제해 결과를 얻는 명령의 집합
- 시스템 소프트웨어: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한 환경을 제어해 주는 프로그램 집단
운영체제, 언어 번역 프로그램(컴파일러, 어셈블러, 인터프리터 등)
- 응용 소프트웨어
- 통신[정보전송] 소프트웨어 : 컴퓨터 상호 간 접속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총칭
월드 와이드 웹 브라우저 소프트웨어, 단말 대행 소프트웨어 등